추진 경과
-
·2016년 수원 정자초등학교와 평택 청옥초등학교를 시범학교로 지정하여 아이들이 직접 훈련을 기획하고 역할을 부여하여 훈련을 진행한 결과 재난유형 및 대피방법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전국 시·도 대상 사전공모와 심사를 거쳐 2017년은 17개 학교, 2018년은 34개 학교로 확대 운영하게 되었고, 특히 2018년은 특수학교(세종누리학교)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훈련 참여대상을 유·중·고등학교까지 대폭 확대하여 188개 학교가 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2024년 훈련 계획
-
· 어린이 재난안전훈련은 기본훈련, 심화훈련 중 선택하여 실시하며, 어린이·교사가 함께 재난유형 선정, 시나리오 작성 등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기본훈련) 학교기존 교육과정(학교안전교육, 위험요인 개선활동 등)에 훈련 프로그램 8개 중 2~3개 선택하여 2주간 실시
- 1단계 : 재난 이해하기-1 : 재난개념 설명, 예방사례 소개
- 2단계 : 재난 이해하기-2 : UNDRR 리스크랜드 게임, 해저드빙고 게임과 함께 재난 이해하기
- 3단계 : 실천하기 : 재난경험 공유, 위험요인과 예방법 찾기, 재난경감 안내서 만들기
- 4단계 : 대피지도 그리기-1 : 재난이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이동통로 찾기
- 5단계 : 대피지도 그리기-2 : 다양한 재난상황에 맞는 대피경로를 모둠별로 평면도에 그리기
- 6단계 : 유관기관 역할체험 : 유관기관(소방관, 경찰관, 보건소 등) 역할 알아보기, 소화기·심폐소생술·응급처치 등 체험
- 7단계 : 대피훈련 준비 : 대피 시나리오 작성 및 모의훈련(리허설) 실시
- 8단계 : 대피훈련 실시 : 현장 대피훈련 실시 및 의견 나눔
※ 학교사정에 따라 훈련기간은 자율적으로 선택(3~5주)로 선택하여 실시하고 5주차에는 체험형 교육(안전체험교육, 증강현실프로그램 등)을 자유롭게 추가하여 실시
-
· (심화훈련) 보드게임, 안전커뮤니티 맵핑, 확장 현실(XR) 활용 가상체험, 시나리오 작성, 현장훈련, 역할체험 등 실시(3~5주 훈련기간에 맞춰 조정)
※ 시나리오 작성 및 대피훈련은 필수, 가상체험훈련은 희망학교에 프로그램 지원
▸1주차: 재난 이해하기, 역할체험 모둠(주변 환경 조사, 관계기관 역할 정리)
※ UNDRR 보드게임 등 외부자원은 매칭된 안전강사가 확보하여 운영(교육청 지원)
▸2주차: 대피경로 작성(대피지도 제작, 재난대응요령 작성, 소화전 위치 파악)
▸3주차: 대피 및 역할체험 시나리오 작성, 모의훈련 실시
▸4주차: 현장 대피훈련 실시, 결과 보고, 의견 나눔, 설문조사
▸5주차: 체험형 교육 실시(확장현실(XR) 훈련 프로그램 등)
※ 학교사정에 따라 훈련기간은 자율적으로 선택(3~5주)로 선택하여 실시하고 5주차에는 체험형 교육(안전체험교육, 증강현실프로그램 등)을 자유롭게 추가하여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