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재난시 행동요령

미세먼지

1 2 3

보이지 않는 위협 미세먼지 안전수칙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미세먼지의 상대적 크기비교 :  머리카락 50~70마이크로미터, 미세먼지 PM10 - 10마이크로미터, 미세먼지 2.5 - 2.5마이크로미터 /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눈 - 알레르기성 결막염, 각막염 코 -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 - 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 2.5마이크로미터 미만 미세먼지는 폐 속 깊이 침투해 허파꽈리에 흡착, 허파꽈리를 손상

미세먼지 많은 날 생활수칙

미세먼지 예보 등급
미세먼지 예보 등급으로 예보구간, 상태별 농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예보구간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예측농도(㎛/㎥) - PM10 0~30㎛/㎥ 31~80㎛/㎥ 81~150㎛/㎥ 151㎛/㎥ 이상
예측농도(㎛/㎥) - PM2.5 0~15㎛/㎥ 16~35㎛/㎥ 36~75㎛/㎥ 76㎛/㎥ 이상
예측농도(ppm) - O3 0~0.030 0.031~0.090 0.091~0.150 0.151 이상
미세먼지 행동요령 - 민감군
미세먼지 행동요령 - 일반인
오존 행동요령 - 민감군
오존 행동요령 - 일반인
* 민감군 : 어린이, 노인, 천식 같은 폐질환 및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어른

미세먼지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경보기준 및 행동요령
주의보 시 행동요령
경보 시 행동요령
* 관련근거  :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7]대기오염경보단계별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기준(제14조 관련)

미세먼지의 특성

* 1㎛ = 1/106m

미세먼지의 정보 확인

* 자료제공 : 한국환경공단(에어코리아) www.airkorea.or.kr)

국민행동요령

미세먼지


가정에서는


- 황사∙미세먼지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하고 마스크를 준비합니다.
※이산화탄소 등 실내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최소한의 환기 필요
-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의 실외활동을 줄이고 외출할 때에는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마스크 착용 시 불편할 경우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습니다.
- 어린이는 실외활동을 줄이고 집에 빨리 갑니다.
- 외출 후에는 손과 발을 깨끗이 씻습니다.
- 황사∙미세먼지가 종료 후에는 충분히 환기를 하고 청소를 합니다.
- 황사∙미세먼지에 노출된 식품이나 물건은 충분히 씻어서 먹거나 사용합니다.

어린이집·유치원·학교에서는


- 원아·학생 비상연락망을 점검하고 미세먼지·황사 대비 행동요령을 지도합니다.

농촌에서는


- 비닐하우스·온실·축사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합니다.
- 방목장의 가축은 축사 안으로 대피시키고 비닐하우스, 온실, 축사의 출입문을 닫아 황사 노출을 방지합니다.
소관부서 : 기후재난대응과 윤수빈(044-205-6368)
소관부서 :국무조정실 미세먼지개선기획단 김세필(044-200-2925)
소관부서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과 이필용(044-201-6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