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재난시 행동요령

산불

이동 이전화면
1 2

산불 예방 및 행동요령

※ 아래 이미지 클릭 시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행동요령 PDF 다운로드

산불 국민행동요령

산불, 관심과 실천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01. 평소에 이렇게 대비합니다.

1.1. 산불 안전을 지켜주세요.

  • ○ 산과 가까운 곳에서 쓰레기, 영농부산물 등을 소각하지 않습니다.

  •  - 특히, 날씨가 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부는 날은 매우 위험합니다.

  • ○ 입산통제구역, 등산로 폐쇄구간으로 지정된 장소에 출입하지 않습니다.

  • ○ 허용된 구역 내에서만 취사나 야영을 하며, 화기사용 후에는 불이 꺼졌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 ○ 산과 가까운 곳에서 연기 또는 불꽃을 목격하였을 시 신속하게 신고합니다.

  •  - 소방서(119), 경찰서(112)에 신고합니다.

  •  - 해당 시·군·구 재난안전대책본부 또는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합니다.

  •  -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042-481-4119)에 신고합니다.

  •  - 스마트폰에서 < 스마트산림재해 > 앱의 ‘신고하기’를 통해 신고합니다.

1.2. 집 주변을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 ○ 집에서 1.5m 이내의 지면에는 되도록 돌, 모래, 흙 등과 같은 불연성 재료를 사용합니다.

  • ○ 집 창문 근처에는 큰 식물이나 덤불 대신 작고 수분이 많은 식물을 가꾸도록 합니다.

  • ○ 지붕, 테라스 등에 낙엽이나 작은 가지가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정리합니다.

  • ○ 집주변의 쓰레기, 건초, 건축자재 등의 가연물은 되도록 1.5m 이상 떨어진 곳에 보관합니다.

1.3. 가족과 함께 위급 상황에 대비합니다.

  • ○ 비상연락망과 대피 시 각자의 역할을 정하도록 합니다.

  • ○ 대피(피난)할 장소와 경로를 미리 알아둡니다.

  •  ※ 대피(피난)장소는 산에서 멀리 떨어진 마을회관, 학교, 공터 등

  • ○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응급처치방법을 반복적으로 훈련하여 익혀 둡니다.

1.4. 비상용품을 준비해 둡니다.

  • ○ 산불에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고 보관장소와 사용법을 알아둡니다.

  •  - 비상식품: 물, 통조림, 라면 등 가열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것

  •  - 구급약품: 연고, 감기약, 소화제, 복용중인 약 등이 포함된 구급함

  •  - 생활용품: 간단한 옷, 화장지, 물티슈, 라이터, 여성용품, 비닐봉투

  •  - 기타: 라디오, 손전등 및 건전지, 휴대전화, 보조배터리, 비상금, 비상연락망 등

02. 산불이 발생하면 이렇게 준비합니다.

2.1. 집 안에서는 이렇게 준비합니다.

  • ○ 지역 대피 안내에 귀를 기울이고 이웃 주민과 수시로 연락합니다.

  • ○ 즉시 이동할 수 있도록 비상용품과 외출용 가방을 준비합니다.

  • ○ 지역의 비상 대응 계획과 대피할 장소, 최선의 경로를 확인합니다.

  • ○ 모든 창문과 문을 닫도록 합니다.

  • ○ 커튼을 제거하고 가연성 가구는 되도록 창문과 문에서 멀리 떨어진 방 중앙으로 옮겨 둡니다.

  • ○ 가스를 차단하고 불을 켜두어 연기나 어둠 속에서도 소방관이 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2.2. 집 밖에서는 이렇게 준비합니다.

  • ○ 집 주위에 있는 가연성 물질을 되도록 집에서 멀리 옮겨 둡니다.

  • ○ 떨어진 불씨로 불이 붙는 것을 대비하여 집 주위에 충분한 물을 뿌려 둡니다.

  • ○ 집 주위에 있는 스프링클러나 호스의 물을 흐르는 상태로 두지 않습니다.

  •  ※ 산불진화 작업 시 진화용수 수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 외부 조명을 켜두어 연기나 어둠 속에서도 소방관이 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차량 이용에 대비하여 차량을 진입로 근처로 이동시킨 후 키는 가지고 있도록 합니다.

  •  ※ 차량 연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대피 경로에 있는 주유소를 알아둡니다.

  • ○ 주변 이웃이 대피 준비를 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가축 또는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 준비사항 >

- 축사 주변의 가연성 물질을 멀리 옮겨놓고 충분한 물을 뿌려 두도록 합니다.
- 가축 또는 반려동물을 두고 대피할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한 물과 먹이를 준비해 둡니다.
- 대피 시 산불이 번지는 상황을 대비하여 축사의 문을 열어두고 반려동물의 목줄을 느슨하게 풀어 둡니다.

2.3. 산행 또는 야영(캠핑) 중에는 이렇게 준비합니다.

  • ○ 구역 내 안내방송, 휴대전화 등을 통해 위험 상황을 확인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알립니다.

  • ○ 산행 또는 야영(캠핑)을 멈추고 산불이 확산하고 있는 경로를 피해 산과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합니다.

03. 산불이 다가오면 이렇게 대피합니다.

3.1. 장소에 따라 이렇게 대피합니다.

3.1.1. 집에서는 이렇게 대피합니다.

  • ○ 대피를 권장하는 지역의 안내가 있는 경우 즉시 안내된 장소로 이동합니다.

  • ○ 혹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주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하고 대피 상황을 알립니다.

  • ○ 대피 시 관계자의 지시에 따르고 재난문자, 방송 등 산불정보에 집중하여 위험 상황을 확인합니다.

  • ○ 대피장소로 이동 시 산과 멀리 떨어진 도로를 이용하고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 ○ 대피 안내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연기 냄새가 나거나 두려움을 느낀다면 산에서 떨어진 마을회관, 학교 등의 안전한 장소로 즉시 대피합니다.

3.1.2 산행 또는 야영(캠핑) 중에는 이렇게 대피합니다.

  • ○ 산행 중 대피 시 계곡부는 피하고 가능하면 활엽수가 있는 구간을 따라 신속히 하산하도록 합니다.

  • ○ 야영 중 대피 시 산과 멀리 떨어진 도로를 이용하여 산불확산 구역과 멀리 떨어진 안전지대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 ○ 미처 대피하지 못한 경우 바람을 등지고 주변의 낙엽, 가지 등을 제거한 후 엎드려 낮은 자세를 유지합니다.

3.2. 대상자에 따라 이렇게 대피합니다.

3.2.1. 어린이와 함께 있을 때는 이렇게 대피합니다.

  • ○ 아기는 띠를 이용해 안고 손을 자유롭게 하여 아기와 자신의 신체를 보호합니다.

  • ○ 어린이의 경우 헤어지지 않도록 손을 잡고 대피하며, 행동요령을 말해주어 함께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3.2.2. 노약자나 몸이 불편하신 분은 이렇게 대피합니다.

< 평소 준비사항 >

- 가족, 친지, 이웃 등 산불 발생 시 도와줄 수 있는 보호자(조력자)를 미리 정하고 도움을 요청할 방법(전화 등)을 구체적으로 정합니다.
 ※ 보호자(조력자)의 연락처가 포함된 비상연락망을 사전에 준비해 둡니다.
- 평소 복용하고 있는 약을 충분히 준비하고, 대피 시 도움이 되는 기구(지팡이, 휠체어 등)을 미리 준비합니다.

< 보호자(조력자)의 역할 >

- 안전취약계층에게 평소 산불행동요령을 주기적으로 교육 및 훈련하여 대피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안전취약계층 :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재난에 취약한 사람
  • ○ 혼자서 행동하지 않고 이웃 또는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  ※ 긴급 시에는 소방서(119) 또는 경찰서(112)에 신고하여 도움을 요청합니다.

  • ○ 거동이 불편한 경우 조금이라도 안전한 장소에서 도움을 기다립니다.

  • ○ 시각장애가 있는 경우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주위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합니다.

  • ○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 텔레비전의 자막방송과 휴대전화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장애를 알려 안전한 장소로 유도 및 필요한 배려를 받도록 합니다.

  • ○ 정신이 불안정하거나 발달장애가 있는 경우 서두르지 말고 가족이나 주위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04. 산불 진화 후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4.1. 현재 상황을 알리고 부상자를 살펴본 후 즉시 구조를 요청합니다.

  • ○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 후 부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가족 또는 지인들에게 상황을 알립니다.

  • ○ 부상이 있는 경우 주변의 도움을 받아 응급 처치하고 소방서(119) 등 구조 구급기관에 신고합니다.

4.2. 주변 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 ○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의 안내에 따라 행동하도록 합니다.

  • ○ 집에 피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동경로별로 안전을 확인한 후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 ○ 귀가 후 집 또는 집주변의 상수도, 전기시설 등 피해가 없는지 확인한 후 사용합니다.

  • ○ 집주변 산에 숨겨진 불씨가 있는지 주의 깊게 확인하고 위험이 감지되면 즉시 신고합니다.

1. 산불이 발생하면 이렇게 준비합니다.
  • 산불이 발생하면 이렇게 준비합니다. 1.모든 창문과 문을 닫고 가스를 차단합니다. 2.집 주위에 있는 가연성 물질을 멀리 옮겨둡니다. 3.떨어진 불씨로 불이 붙지 않도록 집 주위에 물을 뿌려둡니다
2. 산불이 다가오면 이렇게 대피합니다.
  • 산불이 다가오면 이렇게 대피합니다. 1.지역 대피 안내를 확인하고 이웃에게 상황을 알립니다. 2.지정된 대피장소로 산과 떨어진 도로를 이용하여 대피합니다. 3.산행 중에는 계곡부를 피하여 활엽수가 있는 구간으로 신속히 하산합니다.
3. 산불 진화 후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 산불 진화 후에는 이렇게 행동합니다. 1.대피 후 부상 여부를 확인하고 가족 또는 지인에게 상황을 알립니다. 2.귀가 후 상수도, 전기 및 가스시설 등 피해가 없는지 확인 후 사용합니다.※거주지 행정기관의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3.집주변 산에 불씨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즉시 신고합니다.
4. 평소에는 이렇게 대비합니다.
  • 평소에는 이렇게 대비합니다. 1.산과 가까운 곳에서 쓰레기, 영농 부산물 등을 소각하지 않습니다. 2.산행 시 화기물을 소지하거나 흡연을 하지 않습니다. 3.평소 집 주변을 돌,모래,흙과 같은 재료로 가꾸고 쓰레기, 건초, 건축자재 등은 되도록 먼 곳에 보관합니다.
스마트폰 ‘스마트산림재난’앱
  • 스마트폰 '스마트산림재난'앱 1.'스마트산림재난' 앱을 QR코드를 통해 다운로드 합니다 2.앱 하단 '산림재난 신고하기'를 클릭합니다. 3.위치, 촬영신고 또는 전화신고를 통해 산불을 신고합니다. 4.지도에서 신고위치를 선택합니다. 5.산불 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첨부합니다. 6.피해면적,피해규모,성명,소속,연락처를 기재 후 신고하기를 선택합니다
  • 산불 관련 신고 중앙산림재난상황실: 042-481-4119 소방소(119)·경찰서(112)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소관부서 : 환경재난대응과 박경진(044-205-6171), 백미래(044-205-6173)
소관부서 : 산림청 산불방지과 정경득(042-281-4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