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재난시 행동요령

여름철 물놀이

1 2 3 4 5 6 7 8 9

(어린이용) 아기상어 구명조끼 송

※ 아래 이미지 클릭 시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행동요령 PDF 다운로드

장소별 행동요령

1. 계곡에 들어가야 한다면(입수 전)

□ 미리 수온을 체크하고 천천히 들어가며, 다이빙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 얕고 불규칙한 수심에 의해 물속 바위에 부딪히거나 낮은 수온으로 인한 심장마비 등 사고위험이 큽니다.
  ○ 수심이 깊은 장소라 하더라도 물속에 눈에 보이지 않는 소용돌이(와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다이빙은 하지 않도록 합니다.

□ 물의 깊이와 물살을 확인합니다.

  ○ 관리자가 설치한 ‘수심제한선’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계곡물은 육안으로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위험하므로 들어갈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 물이 흐려서 깊이를 알 수 없거나, 폭포처럼 물거품이 보일 정도로 빠르게 흐르는 경우에는 물에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긴 나뭇가지를 활용하거나, 물 위로 떠다니는 나뭇잎이나 풀들을 관찰하여 수심이나 유속확인에 참고합니다.

□ 기상조건과 함께 주변이 안전한지 확인합니다.

  ○ 일기예보를 미리 확인하고(비가 올 경우 들어가지 않도록 함), 휴대폰으로 통신이 가능한 장소인지 확인합니다.
  ○ 주변에 지자체나 소방서에서 설치한 구명튜브와 같은 안전 장비가 있는지, 어디에 있는지 미리 확인합니다.
  ○ 비가 오면 계곡물이 순식간에 불어나 사고위험이 높으므로 비가 올 경우 즉시 물에서 나와 안전한 곳으로 잠시 피하고 기상상황을 지켜봅니다.
  ○ 비가 내린 뒤라면 낙석과 산사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물놀이와 야영을 자제합니다.

□ 미끄러짐 사고와 “머리”를 다치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 계곡에서는 넘어지면서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깊은 곳에 빠지는 경우가 많아 아쿠아슈즈 착용 등을 통해 미끄러짐 사고를 방지하도록 합니다.
  ○ 바위에서 미끄러지거나 급류에 휩쓸릴 경우 뇌진탕으로 인한 사고가 많으므로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항상 조심합니다.

2. 계곡에 빠졌을 때는(익수 시)

□ 당황하지 않고 가슴과 허리를 펴고 시선은 하늘을 응시하며 수면에 누워 물에 뜨는 데 집중합니다.

  ○ 당황하여 몸부림 칠 경우 오히려 가라앉거나 지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침착하게 체력을 아끼며 구조를 기다리도록 합니다.

□ 몸이 떠내려갈 때는 흐르는 물살 반대방향(상류방향)이 아닌, 물의 흐름대로 떠내려가면서 가까운 물가(육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 가능한, 다리를 떠내려가는 방향(하류)으로 하여 바위·나무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충격에 대비합니다.

□ 물길이 세지 않은 깊은 물웅덩이(沼)와 같은 곳에 빠졌을 때

  ○ 당황하지 않고 최대한 양 팔과 다리를 벌려 누워 하늘을 보는 자세(누워뜨기 자세)를 취해 물에 가라앉지 않도록 합니다.
  ○ 잠수에 자신이 있다면, 수심을 확인한 뒤 그대로 잠수하여 바닥을 차고(보빙동작) 수면 위로 떠올라 호흡을 유지하고, 누워서 떠 있거나 발차기 또는 보빙동작을 반복하여 얕은 쪽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1.저수지 주변에 있다면

□ 저수지 주변에서는 혼자 다니지 않도록 합니다.

  ○ 저수지는 행인이 없어 혼자 물에 들어갔다가 빠질 경우, 구조가 매우 어렵습니다.
  ○ 부득이 입수 필요 시에는 안전보호구 착용 후 입수하도록 합니다.

□ 실족에 유의하여 저수지 수면 근처로 가지 말아야 합니다.

  ○ 특히, 안전펜스가 없는 저수지의 경우에는 산책 중 미끄러짐 등으로 물에 의도치 않게 빠질 수도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2. 저수지에 빠졌을 때는

□ 크게 소리 질러 주위 사람에게 알려야 합니다.

  ○ 근처 인명구조함 장비를 이용하여 구조를 받거나, 소방서나 경찰서에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동행이 있는 경우,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 섣불리 물 속에 뛰어들지 않아야 합니다. 대신 주변의 인명구조함 또는 긴 나뭇가지, 밧줄 등을 이용하여 구조를 시도해야 합니다.

□ 당황하지 않고 숨을 참고 수면에 누워 물에 뜨는 데 집중합니다.

  ○ 당황하여 몸부림칠 경우 오히려 가라앉거나 지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침착하게 체력을 아끼며 구조를 기다리거나 천천히 탈출을 시도합니다.
  ○ 주변에 도움을 받을 수 없는데 수영을 할 줄 모르는 경우, 물에 누워 뜬 채로 손만 움직여 육지로 천천히 이동합니다.

□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는 경우, 주변 사물을 이용합니다.

  ○ 저수지 내 구조물 또는 부유물(나무, 스티로폼 등)을 붙잡고 몸을 지지하며 물에 떠 있거나 탈출을 시도합니다.
  ○ 주변에 도구가 없는 경우, 최대한 양 팔과 다리를 벌려 누워 하늘을 보는 자세를 취해 물에 가라앉지 않도록 합니다.

1.갯벌에 들어가기 전에

□ 출입로를 잘 확인하고, 정해진 진입로를 통해 출입합니다.

  ○ 갯골(갯벌 물이 빠지는 수로)에 접근하거나 넘어가지 않아야 합니다.

□ 들어가기 전 미리 들물(밀물) 시간을 확인하며, 밀물 2시간 전에는 갯벌에 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 절대 혼자 들어가지 않아야 합니다.
  ○ 맨발로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구명조끼를 꼭 착용하고, 가슴장화에 유의합니다.


2. 갯벌에 빠졌을 때는

□ 갯벌에 있다가 갑자기 안개(해무)가 끼는 경우에는

  ○ 밀물 시간과는 관계없이 즉시 갯벌에서 나와야 합니다.
  ○ 휴대폰의 지도나 나침반 앱을 통해 육지로 빠져 나오도록 합니다.
  ○ 나가는 방향을 잃었을 때는 갯벌에 조류 때문에 생긴 물결모양 결(연흔)의 방향을 살펴보고, 경사가 완만한 연흔의 직각 방향으로 나와야 육지 쪽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 갯벌에 발이 무릎 이하로 빠진 경우

  ○ 무게중심 반대쪽 다리를 빼내어 무릎을 꿇은 뒤 나머지 발도 빼내어 무릎을 꿇은 자세로 기어서 빠르게 빠져나오도록 합니다.

□ 갯벌에 발이 무릎 이상으로 깊이 빠진 경우

  ○ 무릎 이상 발이 빠진 경우, 다리를 앞뒤로 움직여 공간을 만든 다음, 등을 대고 누워 한 다리씩 뽑아내고 엎드린 포복자세로 기어 나오도록 합니다.

□ 이탈이 어렵거나 고립된 경우, 신속히 119 구조요청을 하도록 합니다.

  ○ 자신의 위치정보가 바로 전송되는 '해로드 앱'으로 SOS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 구조를 기다릴 때는 정확한 구조요청 장소 표시를 위해 호루라기, 랜턴, 휴대폰 등을 이용하고, 물에 빠지거나 젖었을 때는 구조 전까지 체온유지(보온)가 중요합니다.

1.바다ㆍ해수욕장에 들어가기 전에(입수 전)

□ 이상 파도가 있어 보인다면 물에 들어가지 않아야 합니다.

 ○ 너울(사람을 끌고 가는 파도)*, 이안류(거꾸로 치는 파도)** 등 물놀이 시 위험할 수 있는 이상파도가 있는지 잘 살펴봅니다.
 *먼 바다에서 잔잔하게 밀려오다 수심이 얕은 해안에서 갑자기 솟구치는 파도
 **수면 아래에서 바다 쪽으로 나가는 강한 역류성 흐름(최고 3m/sec)

□ 조류가 변할 때는 언제나 흐름이나 파도, 해저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조류변화시간을 파악해 둡니다.

 ○ 간조와 만조는 대개 6시간마다 바뀌므로, 간만 때의 조류변화시간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바다타임 등 조수타임 앱 설치)
 ○ 아이들이 위험해지지 않도록 늘 신경써야 합니다.

2. 바다·해수욕장에 빠졌다면(익수 시)

□ 당황하지 않고 구조대 도착 이전까지 견디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파도에 휩쓸렸다면

 ○ 버둥대지 말고 파도에 몸을 맡기고 숨을 깊이 마신 상태로 숨을 참고 있으면 자연히 떠오릅니다.
 ○ 큰 파도가 덮칠 때는 깊이 잠수할수록 안전합니다.
 ○ 거센 파도에 밀려 나갔을 때에는, 파도에 대항하지 말고 비스듬히 헤엄쳐 모래나 자갈이 있는 육지를 향해야 합니다.

□ 이안류를 만났다면

 ○ 이안류에 휩쓸려 계속 먼 바다로 떠내려갈 때는 물살을 거슬러 다시 육지로 오려고 필사적으로 수영하기보다, 물살에 표류하여 이안류의 흐름이 없는 곳에서 대각선(해변의 45도)이나 직각 방향 해안 쪽으로 헤엄쳐 나옵니다.
 ○ 튜브나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고, 수영을 하지 못한다면 힘을 다해 빠져나오기보다는 흐름에 따라 표류하면서 점차 물살 밖으로 빠져나온 후 해안가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수초에 감겼을 때는

 ○ 놀라서 발버둥 칠 경우, 오히려 더 휘감겨서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침착하게 여유를 가지고 호흡하며, 서서히 부드럽게 몸을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꾸준히 헤엄쳐야 합니다.
 ○ 서서히 팔과 다리를 움직여 풀어야 하고, 만약 물 흐름이 있으면 흐름에 맡기고 조용히 기다리면 감긴 수초가 헐겁게 되므로 이때 털어버리듯이 풀고 수상으로 나오도록 합니다.

※ 해파리에 쏘였을때 대처방법

□ 해파리의 가시가 피부에 박혀있기 때문에 손으로 문지르거나 만지면 안됩니다.

 ① 우선, 바닷물(또는 생리 식염수)로 쏘인 부위를 충분히 세척해서 가시를 제거해야 한다.
 ② 핀셋, 조개껍질, 카드나 칼의 무딘 면으로 긁어 남아있는 가시를 제거한다.
 ③ 원칙적으로 몸이 붓거나 열이 나는 경우나, 어느정도 진정이 된 경우, 냉찜질을 하는 것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사람 체질, 해파리 종류에 따라 찜질 방법(냉·온)을 특정하기 어려워, 세척 후 가까운 병원을 방문한다.
 ④ 독소가 강한 해파리는 위험하기 때문에 통증이 심해지거나 온몸이 아픈 경우 병원으로 가서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 해파리가 보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온다.
 ○ 죽은 해파리도 독침이 박힐 수 있으므로 신발을 착용하고 해변을 걷는다.
 ○ 피부에 달라붙은 해파리는 젓가락이나 장갑을 끼고 떼어낸다.

1.낚시터에 입장할때

□ 미리 구명설비를 확인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하도록 합니다.

□ 주변 날씨를 미리 확인합니다.

□ 정해진 낚시터 이외의 장소(갯바위, 테트라포드, 저수지 등)에서는 낚시를 하지 않도록 합니다.

2. 낚시터에 빠졌을때

□ 낚시터에 빠졌다면, 당황하지 않고 구조대 도착 이전까지 견디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온몸에 힘을 빼고 가슴에 숨을 채운 채로 뒤로 자연스럽게 누우면 몸은 물에 살짝 잠겨있어도 얼굴은 물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호흡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풍랑·해일이 있는 경우에는

 ○ 거센 파도에 밀려 나갔을 때는 육지로 나오려고 하면 파도에 의해 바위 등에 충돌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육지에서 멀리 벗어나 생존수영을 하며 체력을 아끼도록 합니다.
 ○ 수영이 가능한 경우, 파도에 대항하지 말고 비스듬히 헤엄쳐 육지를 향해 나아가도록 합니다.

1. 얼음주변에 있을 때

□ 결빙기(12월~1월 초), 해빙기(2월 중순~3월 초) 시기에는 절대 들어가서는 안됩니다.

 ○ 특히, 2~3월은 얼음이 녹아내리는 시기로 겉으로 단단해 보이는 얼음이어도 물에 빠지기 쉬우므로 절대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 얼음 두께와 관련하여 아래 사항을 유의토록 합니다.

 ○ 강변에서 강의 중심부로 갈수록 얼음 두께가 더 얇아지기 때문에 함부로 강 중심부로 나아가지 않아야 합니다.
 ○ 얼음의 강도는 소리와 색 등으로 어느정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얼음은 결빙 상태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최소 10cm이상 되어야 모여있지 않은 소수인원(1~2명)의 무게를 버틸 수 있음
①소리 : 얼음을 두드렸을 때 돌을 두드리는 느낌과 단단한 소리(명쾌하고 높은 음)가 나면 두꺼운 얼음입니다. 그렇지 않고 퍽퍽하는 소리(둔탁하고 낮은 음)와 얼음이 무른 것처럼 느낌이 들면 절대 들어가면 안됩니다.
②색 : 맑은 색의 얼음일수록 단단합니다. 불투명한 얼음은 눈이 켜켜이 얼어붙은 형태이므로 얼음에 빈 공간이 생기고 얼음이 약한 것이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2. 얼음 위에 있을 때

□ 얼음을 밟았을 때 스폰지를 밟는 느낌처럼 무른 느낌이 들거나 얼음에 금이 가는 경우에는

 ○ 방금 왔던 방향으로 몸을 돌린 후, 천천히 위험지역을 탈출합니다.
 ○ 얼음에 금이 가서 갈라질 위험이 있으면 바닥에 천천히 그리고 안전하게 드러누워 체중을 넓게 분산시키고, 몸을 통나무 굴리듯이 옆으로 굴리면서 위험지역을 탈출합니다.

□ 절대 얼음 밑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잠수하지 않기)


□ 빠진 경우 무리하게 얼음 위로 올라오려고 하지 않아야 합니다.


□ 얼음물에 오래 있으면 저체온증이 올 수 있으니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는 경우, 수영하듯 발로 물장구를 쳐서 몸을 띄우고 얼음판 위로 올라갈 시도를 합니다.



1. 강하〮천에서 다슬기를 채취하고자 할 경우

□ 수심이 깊지 않은 곳이라도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합니다.


□ 물 속을 가까이 볼 경우, 굴절로 인해 정확한 수심파악이 어렵습니다.


□ 허리를 숙이거나 주저앉아서 채취하다 일어설 때 어지럼증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고개를 천천히 들면서 일어나도록 합니다.


□ 모자, 팔토시, 자외선 차단제 등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합니다.


□ 가슴장화를 착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 가슴장화 착용 시 물에 빠졌을 때 옷 안으로 물이 들어와 몸이 무거워져 다시 일어나기 어려워집니다.

□ 미끄러짐에 유의하고, 밤에 다슬기를 채취하지 않도록 합니다.


□ 두 명 이상 함께 다니도록 합니다.



2. 테트라포드에서 실족상황 발생 시

□ 테트라포드에 빠지게 되었다면, 당황하지 않고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체온유지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테트라포드는 높고 미끄러워 붙잡고 올라올 수 없습니다. 무모하게 올라 오려다 찰과상이나 절상이 생기면 삼투압으로 인하여 출혈이 멈추지 않아 과다출혈로 위험에 이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먼저 휴대폰으로 해로드 앱이나 119로 신고하고 가까운 주변에 사람이 있을 경우 소리쳐 도움을 요청하고 구조대가 올 때까지 체온유지를 합니다.
 ○ 파도로 인하여 테트라포드에 부딪힐 수 있으므로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국민행동요령

물놀이 안전



• 물놀이 전


  • 물에 들어가기 전 준비운동 및 구명조끼 착용 이미지
물에 들어가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 착용 후 들어갑니다.
  • 어린이가 물놀이 중 보호자와 함께하는 이미지
어린이 물놀이는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해야 합니다.

  • 안전구역이탈금지, 음주수영금지 이미지
해수욕장, 하천 등에서는 안전구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하고 음주 후 수영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어린이가 안전요원의 안내에 따라 물놀이를 하는 이미지
안전요원의 안내에 따라 물놀이 합니다.


• 물놀이 사고 대처요령


  • 익수사고 발생에 따른 구조신고 중인 이미지
익수사고 발생 시 주위에 소리쳐 알리고(즉시 119에 신고) 구조하려고 함부로 물속에 뛰어 들지 않아야 합니다.
  • 구명안전장비를 통해 익수자를 구조하는 이미지
수영에 자신이 있더라도 물놀이 현장에 비치된 안전장비 (구명환, 구명조끼, 구명 로프 등)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구조합니다.
  • 심폐소생술중인 이미지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할 때에는 인공호흡이나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를 실시합니다.

소관부서 : 재난안전점검과 감영규 (044-205-4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