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발생시 대응 요령
·식중독 의심증상(복통,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면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집단설사 환자가 발생하면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신고하여 식중독 확산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식중독 예방 요령
❍ 식중독 예방 6대수칙
-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구분사용하기, 세척·소독하기, 보관온도 지키기
- 식중독 예방 6대수칙 세부내용
수칙 | 세부내용 |
---|---|
손 씻기 |
①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씻기
② 조리·화장실 사용 전 후, 먹기 전에는 꼭 비누를 사용하여 손씻기 |
익혀먹기 |
① 음식은 충분히 익혀먹기
  * 육류(중심온도 75℃, 1분 이상), 어패류(중심온도 85℃, 1분 이상) |
끓여먹기 | ① 음용수는 끓여서 섭취하고 정수기는 정기적으로 점검·관리 |
구분사용하기 |
① 조리기구(칼, 도마 등)는 용도별(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가공식품용 등) 구분
② 육류, 어패류, 가금류, 계란은 채소, 과일류 등과 교차오염 되지 않도록 분리 보관하기 |
세척·소독하기 |
① 채소, 과일 등은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어서 섭취
② 세척 시 교차오염 되지 않도록 주의 (생채소 → 육류 → 어류 → 가금류 순으로 세척) ③ 조리실, 조리도구, 식기는 열탕소독 또는 염소소독 실시 |
보관온도 지키기 |
① 냉장고(5℃), 냉동고(-18℃) 보관온도 지키기
② 차가운 음식은 5℃ 이하, 뜨거운 음식은 60℃ 이상에서 보관하기 ③ 냉동식품은 냉장고, 냉수 또는 전자레인지에서 해동 |
❍ 여름철 식중독 예방 요령
- 집단급식소 등에 납품되는 식재료들이 적절한 온도 관리없이 외부에서 방치되지 않도록 식재료 보관과 부패·변질에 주의하세요.
- 샐러드 등 신선채소류는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물은 끓여 마셔요.
- 육류와 어패류 등을 취급한 칼·도마와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분하여 사용하세요.
- 나들이, 학교 현장 체험학습, 야유회 등을 갈 경우 이동 중 준비해 간 김밥, 도시락 등의 보관온도가 높아지거나 보관 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아이스박스를 사용하는 등 음식물 관리에 주의하세요.
❍ 겨울철 식중독 예방 요령
- 식품조리 종사자는 손 씻기 등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 음식물은 반드시 충분히 익혀서 먹어요.
- 설사, 구토 증상이 있는 사람의 구토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반드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오물은 비닐 봉투에 넣어 봉하여 처리하고, 염소계 소독제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소독하세요.
- 노로바이러스는 사람 간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오염된 표면은 염소계 소독제로 철저히 소독하세요.
❍ 장마철 식중독 예방 요령
- 침수되었거나 의심되는 채소류나 음식물은 반드시 폐기하세요
- 냉장고에 있는 음식물도 주의하고, 유통기한 및 상태를 꼭 확인하세요.
- 물은 반드시 끓여 먹어요.
- 행주, 도마, 식기 등은 끓는 물 또는 기구등의 살균·소독제로 소독하세요.
- 실외에 있는 된장, 고추장 독에 비가 새어들지 않도록 해요.
- 설사나 구토 증상이 있으면 신속하게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아요.